Algorithm - 최소 신장 트리(MST, Minimum Spanning Tree)

2020. 6. 17. 15:03·Algorithms

Spanning Tree란?

그래프 내의 모든 정점을 포함하는 트리

  • Spanning Tree = 신장 트리 = 스패닝 트리
  • Spanning Tree는 그래프의 최소 연결 부분 그래프 이다.
    • 최소 연결 = 간선의 수가 가장 적다.
    • n개의 정점을 가지는 그래프의 최소 간선의 수는 (n-1)개이고, (n-1)개의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필연적으로 트리 형태가 되고 이것이 바로 Spanning Tree가 된다.
  • 즉, 그래프에서 일부 간선을 선택해서 만든 트리

Spanning Tree의 특징

  • DFS, BFS을 이용하여 그래프에서 신장 트리를 찾을 수 있다.
    • 탐색 도중에 사용된 간선만 모으면 만들 수 있다.
  • 하나의 그래프에는 많은 신장 트리가 존재할 수 있다.
  • Spanning Tree는 트리의 특수한 형태이므로 모든 정점들이 연결 되어 있어야 하고 사이클을 포함해서는 안된다.
  • 따라서 Spanning Tree는 그래프에 있는 n개의 정점을 정확히 (n-1)개의 간선으로 연결 한다.

Spanning Tree의 사용 사례

  • 예를 들어, 회사 내의 모든 전화기를 가장 적은 수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 n개의 위치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최소의 링크(간선)를 이용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경우, 최소 링크의 수는 (n-1)개가 되고, 따라서 Spanning Tree가 가능해진다.

MST(Minimum Spanning Tree)란?

Spanning Tree 중에서 사용된 간선들의 가중치 합이 최소인 트리

    • MST = Minimum Spanning Tree = 최소 신장 트리
    • 각 간선의 가중치가 동일하지 않을 때 단순히 가장 적은 간선을 사용한다고 해서 최소 비용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 MST는 간선에 가중치를 고려하여 최소 비용의 Spanning Tree를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 즉, 네트워크(가중치를 간선에 할당한 그래프)에 있는 모든 정점들을 가장 적은 수의 간선과 비용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MST의 특징

  1. 간선의 가중치의 합이 최소여야 한다.
  2. n개의 정점을 가지는 그래프에 대해 반드시 (n-1)개의 간선만을 사용해야 한다.
  3. 사이클이 포함되어서는 안된다.

MST의 사용 사례

통신망, 도로망, 유통망에서 길이, 구축 비용, 전송 시간 등을 최소로 구축하려는 경우

  • 도로 건설 - 도시들을 모두 연결하면서 도로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하는 문제
  • 전기 회로 - 단자들을 모두 연결하면서 전선의 길이가 가장 최소가 되도록 하는 문제
  • 통신 - 전화선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전화 케이블 망을 구성하는 문제
  • 배관 - 파이프를 모두 연결하면서 파이프의 총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연결하는 문제

MST의 구현 방법

1. Kruskal MST 알고리즘

탐욕적인 방법(greedy method) 을 이용하여 네트워크(가중치를 간선에 할당한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최소 비용으로 연결하는 최적 해답을 구하는 것

  • MST(최소 비용 신장 트리) 가 1) 최소 비용의 간선으로 구성됨 2) 사이클을 포함하지 않음 의 조건에 근거하여 각 단계에서 사이클을 이루지 않는 최소 비용 간선을 선택 한다.
  • 간선 선택을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이다.
  •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신장 트리와는 상관없이 무조건 최소 간선만을 선택하는 방법이다.

[과정]

  1. 그래프의 간선들을 가중치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2. 정렬된 간선 리스트에서 순서대로 사이클을 형성하지 않는 간선을 선택한다.
    • 즉, 가장 낮은 가중치를 먼저 선택한다.
    • 사이클을 형성하는 간선을 제외한다.
  3. 해당 간선을 현재의 MST(최소 비용 신장 트리)의 집합에 추가한다.

2. Prim MST 알고리즘

시작 정점에서부터 출발하여 신장트리 집합을 단계적으로 확장 해나가는 방법

  • 정점 선택을 기반으로 하는 알고리즘이다.
  • 이전 단계에서 만들어진 신장 트리를 확장하는 방법이다.

[과정]

  1. 시작 단계에서는 시작 정점만이 MST(최소 비용 신장 트리) 집합에 포함된다.
  2. 앞 단계에서 만들어진 MST 집합에 인접한 정점들 중에서 최소 간선으로 연결된 정점을 선택하여 트리를 확장한다.
    • 즉, 가장 낮은 가중치를 먼저 선택한다.
  3. 위의 과정을 트리가 (N-1)개의 간선을 가질 때까지 반복한다.

MST 관련 문제

  • 최소 스패닝 트리-백준1197번
  • 네트워크 연결-백준1922번

출처 : https://gmlwjd9405.github.io/2018/08/28/algorithm-mst.html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Algorith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 - Prim Algorithm  (0) 2020.06.19
Algorithm - Kruskal Algorithm  (1) 2020.06.19
Algorithms - Merge Sort (합병정렬)  (0) 2020.03.05
Algorithms - Quick Sort (퀵정렬)  (0) 2020.03.05
Algorithms - Bubble Sort (버블정렬)  (0) 2020.03.05
'Algorith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lgorithm - Prim Algorithm
  • Algorithm - Kruskal Algorithm
  • Algorithms - Merge Sort (합병정렬)
  • Algorithms - Quick Sort (퀵정렬)
dev.wookii
dev.wookii
Effort Maketh Happiness
  • dev.wookii
    습관처럼
    dev.wookii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95)
      • Language (35)
        • python (13)
        • C++ (22)
      • Kaggle (4)
      • Algorithms (112)
        • BOJ (58)
        • programmers (43)
        • SWExpertAcademy (2)
      • Certification (38)
        • Adsp (0)
        • Sqld (28)
        • 정처기 (9)
        • 빅데이터 분석기사 (0)
      • Data Analysis & ML (6)
      • 금융 & 디지털 (65)
      • CS (32)
        • DB (2)
        • SE (3)
        • Web&JSP (1)
        • Network (11)
        • OS (2)
        • Linux&Unix (6)
        • Server (1)
        • UX,UI (1)
        • 보안 (5)
      • 기타 (0)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programmers
    시뮬레이션
    Ebay korea #coding test
    funny algorithms
    2020 KAKAO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dev.wookii
Algorithm - 최소 신장 트리(MST, Minimum Spanning Tree)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