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95)
습관처럼
최근 5G에 관해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이란 개념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국내외 통신사업자들(KT, SK Telecom, China Mobile, DT, KDDI, NTT 등)와 벤더들(Ericsson, Nokia, Huawei 등)이 모두 5G 시대의 네트워크 구조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제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란 물리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Device, Access, Transport, Core를 포함하여 End-to-End로 논리적으로 분리된(마치, HDD를 C와 D로 파티셔닝해서 쓰는 것처럼) 네트워크를 만들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그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Ne..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는 네트워크 기능(***)을 추상화하여 표준화된 컴퓨팅 노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설치, 제어 및 조작하도록 지원합니다. NFV에는 탄력적 확장 및 자동화와 더불어 새로운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한 클라우드 및 가상화 기술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NFV 및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그룹으로 나뉩니다. NFV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NFV 및 SDN 개발의 핵심 원동력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및 컴퓨팅 리소스의 오케스트레이션과 관리를 자동화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VM 10대와 컨테이너 ..
OSI 7계층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OSI 7 계층 정의 - OSI(Open System Interc onnection)로서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연결 모델입니다. -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1984년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었습니다. - 7개의 계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흔히 OSI 7 Layer라고 부릅니다. OSI 7 계층 정의 - 표준과 학습도구입니다. - 표준화를 통해 장비별로 다른 포트의 문제나 프로토콜 등으로 인한 문제 해결 및 비용절감을 위해서 입니다. - OSI 7 계층은 계층별의 기능과 통신의 과정을 잘 정립하여 교육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2. 물리적 계층 (1)물리적 계층 특징 - 물리 계층에서 정의 되는 기능(전송속도..
UNIX란? 1969년 Bell 연구소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개발용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초기의 유닉스 운영체제는 어셈블리(Assembly) 언어로 작성되었으나, 같은 연구소의 Dennis Ritchie가 C 언어를 개발한 뒤, 이 언어를 이용하여 유닉스를 다시 만들었다. 그리하여 1973년에 다른 운영체제와는 달리 유닉스는 C언어가 90% 이상이고 나머지가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어, 고급언어로 작성된 최초의 운영체제가 되었다.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 CPU, RAM, ROM, 모니터 등의 하드웨어를 동작시키고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반적인 운영체제로는 윈도우, Mac OS, 리눅스 그리고 유닉스가 있음. * 어셈블리(Assembly) ..
오늘은 ISMS 에서 ISMS-P 으로 변경된 개인정보 통합인증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MS 란? 정보통신망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수립하는 기술적, 물리적, 관리적 보호조치 등 종합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에 대한 인증 제도입니다. 이는 제 3의 인증기관이 객관적, 독립적으로 관리체계를 평가하여, 관련 기준에 대한 적합 여부를 보증합니다. ISMS인증과 관련하여 정책기관은 미래창조과학부, 인증기관은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 관련 업무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종합하자면, ISMS는 기업 및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정보, 산업기밀, 개인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자산이 안전하고 신뢰성 있게 관리되고 있음을 국가로부터 인증 받는 국가공인 제도입니다. ISMS 인증 체계입니다. 정책기관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진행..
/ : 최상위에 있는 디렉토리로 부트 디렉토리라고 한다. /bin : 기본 실행 파일들, 즉 사용자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 /boot : 시스템 부팅시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 있다. /dev : 플로피,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버 등의 각종 장치 파일들을 모아 놓은 곳이다. /etc : 시스템 관리시 필요한 스크립트 파일들과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다. /home :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한다. 예) linuxer라는 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이 계정의 홈 디렉토리는 /home/linuxer이다.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커널 모듈도 이곳에 있다. /lost+found : ext2 및 ex3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한 디렉..
글쓰기에 앞서~ 리눅스를 시작할 때 한번쯤은 고민을 해봤을 법한 리눅스 종류와 선택 및 특징에 대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리눅스란? GNU란? GPL? 리눅스의 특징 ◈ 리눅스 배포판 역사 및 순위 리눅스가 그 긴 역사동안 얼마나 많은 배포판들이 나오고 사라지고 업데이트 되었는지 보여주는 사진입니다. 시초는 GNU/LINUX를 기반하고 있네요~! 여기서 갈래가 뻗어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쨋든 가장 많이 사용되는 1~2위 리눅스 배포판은 우분투인 것 같습니다. ◈ 배포판의 종류 리눅스의 배포판은 수백가지가 있는데 역사의 분기에 따라 크게 분류하면, 슬렉웨어 계열, 데비안 계열, 레드햇 계열 이렇게 3가지 갈래로 나눌 수 있다. (맨 위 갈래를 보여주는 사진을 참고) ▶최초의 리눅스 배포판..
OTT 서비스란? OTT(Over The Top)서비스는 기존의 통신 및 방송 사업자, 제3사업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의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서비스를 말합니다. 줄임말에서 'Top'은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의미합니다만, 요즘은 셋톱박스에 상관 없이 PC,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뿐만 아니라 기존의 통신사나 방송사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인테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모두 포괄한 의미로 사용 합니다. OTT 서비스의 등장배경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자신이 선호하는 미디어 콘텐츠만을 시청하려는 TV시청자들의 수요가 증가(라이프스타일의 변화) >> 매월 일정액 시청료를 지불하는 케이블 TV는 제한된 채널로 인해 시청자들의 각기 다른 선호 콘텐츠 수요를 모두 만족 시킬수 없는 한계가 있음 O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