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32)
습관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의 문제점과 엣지 컴퓨팅의 정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문제점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저장소, 소프트웨어, 분석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네이버의 NDrive, 구글 Docs 등이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탄생한 이후, 각광 받으며 여러 기업들이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이런 클라우드 컴퓨팅에도 여러 문제점이 있습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서버 및 데이터 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넘어서기 시작했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송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 현상도 문제점으로 발생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
비공개 키 암호방식 (대칭 암호) 동일한 키로 암호화, 복호화를 동시에 할 수 있는 방식. 암호화를 하는 측과 복호화를 하는 측이 같은 암호 키를 공유해야 한다! ‘123!@#’라는 키로 암호화를 하면 복호화시에 ‘123!@#’를 입력해야함! 이 과정에서 누가 대칭키를 획득하면 암호화된 데이터를 알아낼 수 있다는 단점(***) 계산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대방과 키를 공유해야하는데 안전하게 키 공유가 어려움. 상대방이 많아질수록 키 관리가 어려움 n(n-1)/2개의 키 필요! 하나의 비밀키를 양쪽(client & server)가 모두 같이 사용 암호화와 복호화에 사용하는 키가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 공개키와 비밀키를 별도로 가지는 것과 구별되는데, 이와 비교하면 계산속도가 빠르다는 장점..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두 개의 네트워크 호스트간, 패킷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 발신지에서 목적지의 처리 속도를 초과하지 않기 위해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 ) TCP와 같이 데이터의 전달을 보증하는 프로토콜에서는 패킷 하나하나가 전달되었음을 확인 신호(acknowledgement)를 받아야 하며, 만약 패킷이 중도에 잘못되었거나 분실되어 확인 받지 못하는 경우, 해당 패킷을 재전송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윈도(window)는 메모리 버퍼의 일정 영역을 뜻한다. 슬라이딩 윈도(Sliding window)라고 하는 이유는 "데이터가 전송되고 확인응답이 수신될 때마다 윈도의 범위를 이동시키기 때문"이다. Stop-and-wait 방식을 사용했을 때는 ACK 를 ..
최근 5G에 관해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이란 개념이 자주 거론되고 있다. 국내외 통신사업자들(KT, SK Telecom, China Mobile, DT, KDDI, NTT 등)와 벤더들(Ericsson, Nokia, Huawei 등)이 모두 5G 시대의 네트워크 구조로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제시하고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란 물리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 Device, Access, Transport, Core를 포함하여 End-to-End로 논리적으로 분리된(마치, HDD를 C와 D로 파티셔닝해서 쓰는 것처럼) 네트워크를 만들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다양한 서비스들에 대해 그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해주는 것이다. 각 네트워크 슬라이스(Ne..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는 네트워크 기능(***)을 추상화하여 표준화된 컴퓨팅 노드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네트워크 기능을 설치, 제어 및 조작하도록 지원합니다. NFV에는 탄력적 확장 및 자동화와 더불어 새로운 네트워크 서비스를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한 클라우드 및 가상화 기술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주로 NFV 및 SDN(Software-Defined Networking) 그룹으로 나뉩니다. NFV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NFV 및 SDN 개발의 핵심 원동력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및 컴퓨팅 리소스의 오케스트레이션과 관리를 자동화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VM 10대와 컨테이너 ..
OSI 7계층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OSI 7 계층 정의 - OSI(Open System Interc onnection)로서 개방형 시스템의 상호연결 모델입니다. -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1984년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었습니다. - 7개의 계층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흔히 OSI 7 Layer라고 부릅니다. OSI 7 계층 정의 - 표준과 학습도구입니다. - 표준화를 통해 장비별로 다른 포트의 문제나 프로토콜 등으로 인한 문제 해결 및 비용절감을 위해서 입니다. - OSI 7 계층은 계층별의 기능과 통신의 과정을 잘 정립하여 교육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2. 물리적 계층 (1)물리적 계층 특징 - 물리 계층에서 정의 되는 기능(전송속도..
UNIX란? 1969년 Bell 연구소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개발용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초기의 유닉스 운영체제는 어셈블리(Assembly) 언어로 작성되었으나, 같은 연구소의 Dennis Ritchie가 C 언어를 개발한 뒤, 이 언어를 이용하여 유닉스를 다시 만들었다. 그리하여 1973년에 다른 운영체제와는 달리 유닉스는 C언어가 90% 이상이고 나머지가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어, 고급언어로 작성된 최초의 운영체제가 되었다. *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 CPU, RAM, ROM, 모니터 등의 하드웨어를 동작시키고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일반적인 운영체제로는 윈도우, Mac OS, 리눅스 그리고 유닉스가 있음. * 어셈블리(Assembly) ..
/ : 최상위에 있는 디렉토리로 부트 디렉토리라고 한다. /bin : 기본 실행 파일들, 즉 사용자 명령어들이 들어 있다. /boot : 시스템 부팅시 필요한 파일들이 들어 있다. /dev : 플로피,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버 등의 각종 장치 파일들을 모아 놓은 곳이다. /etc : 시스템 관리시 필요한 스크립트 파일들과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다. /home :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한다. 예) linuxer라는 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이 계정의 홈 디렉토리는 /home/linuxer이다. /lib : 각종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커널 모듈도 이곳에 있다. /lost+found : ext2 및 ex3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한 디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