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처럼

IT신기술 용어 정리(3) 본문

Certification

IT신기술 용어 정리(3)

dev.wookii 2020. 1. 17. 18:09

1.L

LBS(Location Based Services): 휴대폰 기지국과 위성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차량, 선박 등의 위치를 찾아내는 서비스를 말한다.

 

LED(Light Emitting Diode): 전기를 이용하여 색의 기본요소인 적색, 녹색, 청색은 물론 백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상의 빛을 만드는 기술의 일종이다. 기존 조명방식보다 에너지 효율이 높고 유해물질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3세대 이동통신 WCDMA를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으로서, 3세대 이동통신과 4세대 이동통신의 중간에 해당하는 진보된 기술이라는 의미로 3.9세대 이동통신이라고 부른다.

 

2.M

M2M(Machine-To-Machine): 지금까지의 네트워크가 사람과 디지털 장비와 같은 기계 사이에 이루어진 반면, 사람의 직접적인 개입이 없이 기계와 기계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자동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M-Commerce: 무선통신환경 하에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개인용 휴대무선단말기를 이용하여 물품 구매, 은행 업무 등의 전자상거래를 구현한 서비스를 말한다.

 

MDM(mobile Device Management): 휴대폰과 같은 이동 장비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원래는 펌웨어를 원격으로 업데이트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설치할 목적으로 태동되었으나 지금은 이동 장비의 분실에 대한 대책 실행, 이동 장비의 실시간 관리 등에 사용된다

 

Media Bigbang: 방송과 통신의 융합, 신문과 방송의 겸업, 뉴미디어의 출현 등을 통하여 전체 미디어 관련 분야에 우주 대폭발과 같은 재편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Memory(MRAM, PRAM, FRAM): 반도체 내부의 기본단위인 셀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서 PRAM(Phase Change RAM, 상변화 메모리), F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메모리), MRAM(Magnetic RAM, 강자성 메모리), PoRAM(Polymer RAM, 폴리머 메모리), 나노튜브 RAM, 홀로 그래픽 메모리, 모듈러 메모리 등으로 구분된다.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르다. 플래시 메모리보다 단위가 다르게 빠르다. 반도체 시장에 가장 빠르게 진입한 것은 FRAM이며, 현재 가장 빠른 기술진척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PRAM이다.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는 전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아주 작은 기계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MEMS를 일본에서는 마이크로머신이라고 부르며, 유럽에서는 마이크로 시스템 기술  MST라고 부른다. MEMS는 크기가 1 100마이크로미터 사이인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지며, MEMS 장치는 크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20마이크로미터에서 1밀리미터 사이에 이른다.

 

Metadata: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 컴퓨터에서는 데이터 사전의 내용, 스키마 등을 의미하고,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문서에서는 메타 태그내의 내용이 메타 데이터이다.

 

MICS: MICS 의학 삽입물과 통신을 할 때 402 405MHz 사이의 주파수대를 사용하는 사양에 대한 명칭이다. MICS는 심박조율기나 다른 전자 삽입물과 양방향 무선통신을 허용한다. 매번 가용한 최대 대역폭은 300Khz인데, WiFi나 블루투스에 비하여 낮은 비트율 시스템을 형성한다

 

Miracast: 와이파이협회가 만든 무선 영상 전송규격의 일종으로서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화면을 압축한 후 이것을 무선랜으로 보내고 이를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다시금 압축을 풍어 화면에 띄워주는 스크린캐스팅 기술이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기반으로 스마트폰과 스마트 TV를 연결하여 스마트폰의 화면을 그대로 스마트TV에 보게 해준다.

 

MMS: 휴대폰을 통해 텍스트 중심의 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하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에서 발전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MMS로 전송 가능한 데이터로는 사진, 아바타, 동영상, 배경음악 등이 있다

 

Mobile IPv6: 스마트폰에서 이용하는 모바일 IP를 말한다.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 ① 이동 중인 스마트폰(MN, Mobile Node)은 현재 자신이 위치한 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임시주소(CoA, Care of Address)를 얻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MOOC: 인터넷 온라인을 통하여 세계를 상대로 진행하는 공개 강의로서 미국 유명대학에서 시작되어 우리나라에도 K-MOOC라는 이름으로 본격화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MOOC로는 edX(에드엑스), Coursera(코세라), Udacity(유대시티), Accelebrate(엑셀러브레이트) 등이 있다. edX(에드엑스)는 하버드와 MIT가 공동으로 만들었으며, 현재는 북경대, 서울대 등도 참여하고 있다. Coursera(코세라)는 스탠퍼드대, 예일대, KAIST 등이 참여하고 있고 현재 가장 큰 MOOC이다.

 

Multi-Modal Interface: 컴퓨터와 인간 사이의 통합적 인터페이스로서, 인간은 키보드, 음성, 펜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서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컴퓨터는 이미지, 3차원 그래픽, 음성, 소리, 진동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가리킨다. 특별한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음성 인식, 행동 인식, 촉감 인식 등의 다양한 생체인식을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고 인간 중심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여준다.

 

MVNO: 다른 사업자가 가지고 있는 주파수 자원을 차용하여 사업을 하는 임차 사업자를 말한다. 이동통신 사업자로부터 주파수 대역을 저렴하게 두입하여 부가가치를 붙여서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게 된다. 국내의 경우 2006년부터 와이브로(Wibro) 서비스에 이 제도가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3.N

N Screen Service: 동일한 콘텐츠를 N개의 상이한 단말기들을 통해서 끊임없이 이용할 수 있는 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휴대폰, 노트북을 통해서 동일한 콘텐츠를 끊임없이 이용할 수 있다면 이것은 3 스크린 서비스가 된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 내부에서 사용하는 사설 IP 주소와 외부로 보여지는 공인 IP 주소 간의 변환 기능을 말한다.

 

NEWS(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 나노 전자 기계 시스템): 미세한 나노 규모의 전기, 전자, 기계 부품들을 결합하여 만든 시스템을 말한다.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의 다음 단계로 제시될 미래 기술로서 광학, 화학, 생물학 분야의 소자 제작 등에 주로 활용한다.

 

NT(Nano Technology): 원자나 분자를 분석하고 이해하며 이들을 조작하는 기술을 이르는 용어로서, 1 나노미터(nm)는 통상 10억분의 1미터를 나타낸다.

 

4.O

OCAP: 모든 종합 유선방송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대화형 텔레비전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미들웨어 플랫폼을 말한다. 셋톱박스 또는 텔레비전의 제작자나 판매자가 장비 상에 이를 설치하여 소비자가 모든 케이블 TV 방송사로부터 다양한 서비스를 받도록 해준다.

 

OFDM(Orthogonal Freq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존의 주파수 분할 다중(FDM) 방식에서 반송파와 직교관계의 부반송파를 추가로 활용하여 다중으로 전송하는 변조 방식이다. IEEE 802.11 무선랜, 와이브로, 4세대 이동통신, 전력선 통신(PLC) 등의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한다.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 현상에 대한 해결책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OGSA(Open Grid Servies Architecture): 그리드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중심의 상업적인 응용에 초점에 맞추어 개발된 표준으로서, 애플리케이션 공유용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용 그리드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이다. 웹 서비스 표준을 적극적으로 따르고 웹 개발 툴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IBM 중심의 글로벌 그리드 포럼이 개발을 주도했다.

 

OLAP(Online Analytical Processing):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검색하고 분석해서 문제점이나 해결책을 찾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온라인 검색을 지원하는 데이터웨어하우징 지원 도구로서 OLAP 툴 또는 OLAP 서버가 존재하는데 이들은 많은 수의 연산을 통해 필요한 질의를 고속으로 지원해준다.

 

Ontology: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정의하고 개념을 명확히 정의해주는 것을 말한다. 특정한 도메인과 관련된 단어들을 계층적으로 표현한 후, 이를 확장할 수 있는 추론규칙을 포함시킴으로써 인터넷상의 지식처리, 응용프로그램 간의 지식 공유와 재사용을 지원한다. 존재를 토대로 하여 실재(reality)를 정확히 이해하려는 철학에서 유래된 용어로서, 단어와 관계들로 구성된 사전의 일종이며 시멘틱 웹 응용의 핵심 개념이다.

 

Open Source Software: 소스 코드가 공개되어 타인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그러나 이것이 저작권을 포기함을 의미하거나 무상 사용을 의미하지는 않으므로, 다양한 라이선스 모델을 잘 읽고 대응해야 하며, 특허권이 설정된 경우 더 확인이 필요하다. OSS의 주요 라이선스 형태로는 GFL, LGFL, MPL, BSD 등이 있다.

 

Open XML: XML을 기반으로 하여 MS-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등 MS 오피스 프로그램에 적용된 새로운 개방형 문서 형식이다. 문서 기능의 문서화가 가능하며, 저장과 처리의 효율성이 높다.

 

OSMU(One Source Multi Use): 시장에서 이미 성공한 콘텐츠에 다시 투자하여 라이선스를 추가함으로써 2, 3차 콘텐츠로 발전시키는 마케팅 전략이다. 특정 콘텐츠를 여러 매체에서 활용하거나, 2차 제작물을 만들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법으로서,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위성방송, 지상파방송, CATV, 인터넷 등의 여러 매체를 통해서 다시 방송하는 것이지만, 이미 극장에서 개봉한 영화를 DVD로 만들어 수출하는 마케팅도 OSMU 사례이다.